안녕하세요.
오늘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(Android Studio) - 가상 디바이스(핸드폰)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가상 디바이스(핸드폰)??
안드로이드 스튜디오(Android Studio)에서 만들 앱을 가상 디바이스에서
실행하여 진짜 핸드폰에서 보이는 화면 그대로 출력하여
테스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.
1.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처음 깔고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전에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studio/run/managing-avds?hl=ko
가상 기기 만들기 및 관리하기 | Android 개발자 | Android Developers
Android 스튜디오에서 가상 기기를 만들고 관리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세요.
developer.android.com
해당 링크를 통해서 얻는 정보는 More Actions > Virtual Device Manager 뿐입니다. 그 이후의 작업들은 아래를 참고하여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2.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하고 프로젝트에서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2-1. 우측 상단에 있는 빨간 박스를 클릭
2-1-1. Device Manager가 실행이 됩니다.
2-2. 원하는 크기의 디바이스를 찾고 Next
2-2-1. 중앙에 New Hardware Profile로 하여금 직접 디바이스 디스플레이&이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(나만의 핸드폰 및 타종의 디바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.)
2-3. 해당 디바이스에 어떤 API(버전)을 설치할 지 선택하시면 됩니다.
※ 해당 버전을 선택하기 까다롭다면 구글에 안드로이드 버전 점유율이라 검색하시면 점유율을 파악하여 제일 높은 점유율을 지닌 버전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해당 버전을 설치 중....
2-3-1. 버전 설치 완료 후 Finish
2-4. 설치한 버전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Next
2-5. AVD 이름과 앞서 설정한것들이 제대로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. 문제가 없다면 Finish!!
※ Show Advanced Settings(주황색 박스) : 설정들을 조금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기능.
2-6. Device Manager에 AVD Name으로 하나의 디바이스가 생성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-7. 가상 디바이스를 켜보게 된다면 아래의 그림처럼 가상의 핸드폰이 뜨게 됩니다.
※ 해당 실행은 디바이스의 전원만 켜는 것 입니다.
2-8. 제가 만든 소스를 바로 적용하고 싶으시다면 가상의 디바이스를 켜놓은 상태에서 main.dart를 AVD에 맞게 설정해두고 실행하게 된다면 아래와 같이 소스에 맞는 화면이 바로 뜨게 됩니다.
※ 실행이 조금 느릴 수 있습니다. 우측 하단에 로딩바 같은게 사라지고 console(터미널)에 localhost:port가 뜨게 된다면 실행이 완료가 되었다는 뜻 입니다.
※ 해당 화면이 안보인다면 하단에 보이는 화살표에 보이는 Emulator(빨간 박스)를 클릭해주시면 디바이스가 뜨게 됩니다.
이렇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(Android Studio) - 가상 디바이스(핸드폰)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개발을 할때 웹으로 띄워서 작업을 하셔도 되고 해당 글에서 소개해준 방법으로 진행하셔도 똑같습니다.
조금 더 편안한 방법으로 개발을 진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감사합니다.
'Programming > Flutter(앱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러터(flutter) - single dex file (mergeExtDexDebug) 오류 (74) | 2023.10.02 |
---|---|
플러터(Flutter) - 라이브러리(Library) 설치 사이트 & 방법 (0) | 2022.07.25 |
안드로이드 스튜디오(Android Studio) 사용법 (0) | 2022.07.24 |
앱 프로그래밍 첫 시작 - Flutter & Android Studio 설치 (0) | 2022.07.23 |
댓글